
📌 애드센스 수익, 왜 신고해야 할까요?
한국에서는 모든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. 애드센스 수익도 예외가 아닙니다.
국세청은 해외에서 송금된 금액도 추적 가능하며, 신고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애드센스 수익은 자동으로 신고되지 않으므로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!
✅ 직장인이라도 신고해야 하나요?
네! 애드센스 수익은 근로소득과 별개로 사업소득으로 분류됩니다.
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했다 하더라도 추가로 신고해야 합니다.
신고하지 않으면 소득 누락으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✅ 사업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사업자의 경우 애드센스 수익은 부가가치세 대상은 아니지만,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.
경비 처리를 통해 세금을 줄일 수도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
✅ 세금 신고를 하지 않으면?
- 가산세 부과: 무신고 가산세(20%), 납부불성실 가산세(연 10.95%) 등 추가 비용 발생
- 세무조사 가능성 증가: 국세청은 해외 송금 내역을 추적할 수 있어 미신고 시 적발될 가능성 높음
- 불이익 발생: 소득 신고 누락 시 대출, 신용평가, 건강보험료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
✅ 세금 신고를 하면 좋은 점
- 성실하게 신고하면 추후 소득 증빙이 가능하여 대출, 신용평가 등에서 유리
- 환급 가능성 있음 (근로소득과 합산 신고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음)
- 세법 개정으로 인해 국세청의 감시가 강화되는 만큼, 미리 신고하여 리스크 최소화
이제,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 신고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볼까요? 🚀
애드센스로 수익을 올렸다면 꼭 신고해야 하는 종합소득세! 💡
하지만 어떻게 신고해야 할지 막막하다면?
✅ 외국환 매입(예치) 증명서 발급부터 환율 적용, 홈택스 신고 방법까지
✅ 1인 미디어 창작자를 위한 종합소득세 & 지방소득세 신고 절차
✅ 애드센스 수익을 신고해야 하는 시기와 절세 TIP까지!
1. 애드센스 수입금액 확인
① 외국환 매입(예치) 증명서 발급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1.1 | 외화 입금 은행 접속 (국민은행 기준) |
1.2 | 개인뱅킹 → 로그인 → 뱅킹관리 → 제증명발급 → 외국환매입(예치) 증명서 |
1.3 | 조회기간: 2023.1.1 ~ 2023.12.31 (1년 단위) |
1.4 | 발급 용도: 공공기관제출용(세무서 등) 선택 |
1.5 | 증명서 발급 후 금액 확인 |
📌 주의사항
- 외화통장 입금 내역과 비교하면 입금액이 적을 수 있음 → 송금수수료 차감
- 세금 신고 시 외국환매입(예치)증명서의 금액 기준으로 계산
② 환율 확인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2.1 | 서울외국환중개 접속 |
2.2 | 환율조회 → 달러 입금일 선택 → 조회하기 |
2.3 | 입금일 기준 환율 적용하여 원화 계산 |
💡 예시
입금일 | USD | 적용환율 | 원화금액 |
---|---|---|---|
2023.06.22 | 100달러 | 1291.50 | 129,150원 |
2023.08.22 | 100달러 | 1341.50 | 134,150원 |
2023.12.22 | 100달러 | 1303.80 | 130,380원 |
총 합계 | 300달러 | 393,680원 |
📌 원화 환산 후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입력
2. 종합소득세 신고하기
① 홈택스 접속 및 신고 시작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3.1 |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|
3.2 | 세금신고 → 종합소득세 신고 → 모두채움/단순경비율신고 |
3.3 | 귀속 연도: 2023년 선택 |
3.4 | 연락처 입력 후 [저장 후 다음 이동] |
② 소득종류 선택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4.1 | 근로소득: 회사 연말정산된 소득이 자동 체크됨 |
4.2 | 3.3% 원천징수 사업소득 확인 |
4.3 | 애드센스 수입 추가 (사업소득) |
4.4 | [소득종류변경] 클릭하여 사업소득 추가 |
③ 사업소득 정보 입력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5.1 | [사업장 추가입력] 클릭 |
5.2 | 사업자등록번호: 없음 선택 |
5.3 | 업종코드: 940306 (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) 선택 |
5.4 | 등록 후, 새로 생성된 입력란에 애드센스 총 수입금액 입력 |
5.5 | [입력완료] 버튼 클릭 |
④ 인적공제 명세 수정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6.1 | [인적공제 수정] 클릭 |
6.2 | 부양가족 추가 (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관계 선택) |
6.3 | [등록하기] → [입력완료] |
⑤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확인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7.1 | 회사에서 연말정산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비교 |
7.2 | 필요 시 소득 및 공제항목 수정 |
⑥ 최종 세액 확인 및 신고 제출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8.1 | 세액 결정 화면에서 60번 항목(납부할 세액/환급 세액) 확인 |
8.2 | 마이너스(-)면 환급 |
8.3 | 은행 및 계좌번호 입력 후 [제출화면 이동] |
8.4 | [신고서 제출하기] 버튼 클릭 |
8.5 | 신고서 제출 목록에서 제출내역 확인 |
3. 지방소득세 신고하기 (위택스)
① 위택스 접속 및 신고 시작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9.1 | 위택스 로그인 |
9.2 | 주민번호 뒷자리 7자리 입력 후 신고창 이동 |
② 신고정보 입력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10.1 | 신고인 정보 입력 후 [신고인과 동일] 버튼 클릭 |
10.2 | 납세지 정보 수정 (관할자치단체 동 선택) |
③ 최종 세액 확인 및 신고 제출
절차 | 상세 내용 |
---|---|
11.1 | 32번 항목: 납부(환급)할 총 세액 확인 (환급이면 마이너스 금액) |
11.2 | 입금받을 은행 및 계좌번호 입력 |
11.3 | [제출] 버튼 클릭 |
🚀 최종 요약 (Flow Chart)
plaintext복사편집1. 애드센스 수입 확인
├─ 외국환매입(예치)증명서 발급
├─ 서울외국환중개 사이트에서 환율 조회
├─ 원화 금액으로 환산
2. 종합소득세 신고 (홈택스)
├─ 소득종류 선택 (근로소득 + 사업소득)
├─ 애드센스 수입 추가 (업종코드 940306)
├─ 부양가족 추가 (필요 시)
├─ 소득 및 공제항목 확인 후 신고 제출
3. 지방소득세 신고 (위택스)
├─ 납세지 정보 확인
├─ 지방소득세 금액 확인 및 제출
├─ 신고 완료 및 환급 여부 확인
📌 추가 TIP (환급을 극대화하는 방법)

✅ 경비 처리: 애드센스 수입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므로, 경비 처리 항목을 추가하면 과세 소득을 줄일 수 있음.
- 예: 인터넷 비용, 컴퓨터/장비 구입비, 광고비 등
✅ 세액공제 검토: 신용카드/체크카드 사용액, 기부금, 연금저축, 보험료 등 공제 가능한 항목을 최대한 반영.
✅ 홈택스에서 전년도 신고내역 비교: 변경된 세법 적용 여부 확인하여 추가 환급 가능성 검토.
이제 이 프로세스를 따라가면 애드센스 수입 신고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! 🎯
25년에 입금된 애드센스 수익은 언제 신고 해야해?
2025년 1월~12월에 입금된 애드센스 수익은 2025년 귀속 종합소득세로 신고해야 합니다.
즉, 2026년 5월 1일~5월 31일 사이에 신고하면 됩니다.
📌 신고 대상 기간 정리
- 2024년 1월~12월에 발생한 소득 → 2025년 5월에 신고
- 2025년 1월~12월에 발생한 소득 → 2026년 5월에 신고
📌 왜 2026년에 신고해야 할까?
종합소득세는 귀속 연도 기준으로 신고합니다.
- 2025년 2월 입금된 금액은 2025년의 소득으로 인정됨
- 종합소득세는 매년 1월~12월 소득을 다음 해 5월에 신고하는 구조
- 따라서 2025년 소득은 2026년 5월에 신고!
📌 신고 시 참고해야 할 사항
✅ 입금된 날짜 기준으로 외국환 매입(예치) 증명서 발급
✅ 입금 당시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변환
✅ 홈택스에서 사업소득으로 신고 (업종코드 940306 적용)